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QS
- write Through
- stateful
- ASG
- CodePipeline
- cbt
- cloudwatch-agent
- EKS
- S3
- 쿠버네티스
- write back
- CodeCommit
- CloudFormation
- CodeBuild
- 정보처리기능사
- DNS
- DaemonSet
- Kinesis
- 유나인버거조인트
- Lambda
- Round Robin
- CloudWatch
- istio
- Kubernetes
- server
- 해킹송
- APIGateway
- AWS
- 3AZ
- access_log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6)
cloud bee
오늘은 아래와 같은 다이어그램으로 amazon web service serverless를 구현해 보았다. 해당 다이어그램에서 사용한 서비스는 아래와 같다. - cloud cloudfront - api gateway -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S3) - lambda - Amazon dynamodb 번외로 실제 실습을 진행하면서,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도 사용하여 실습을 하였었다. 이 다이어그램으로 실습을 진행하였을 때 어떤 식으로 표시가 되고 동작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나는 이걸 실습을 진행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S3) 생성 2. amazon ..
위에 있는 사진은 해당 실습에서 사용할 아키텍처이다. 해당 아키텍처를 참고하여 codepipeline에 관한 실습을 진행하도록 할 것이다. 목표: codecommit에 업로드된 test.txt를 codebuild를 통해 test.txt 내용물 안에 있는 'a'라는 알파벳을 'ㅁ'으로 치환한 후 S3에 업로드하도록 한다. 우리가 해당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단계이다. 요구사항 1. amazon web service console 계정을 준비한다. 2. 적절한 IAM 권한을 생성해 준다. 3. code commit을 생성한다. 4. S3를 생성한다. 5. codecommit에 test.txt, buildspec.yml을 업로드한다. 6. codebuild를 생성하도록 한다. 7. codepipeline을 생성..
amazon web service에서 인프라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할 때, 멀티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을 활용하여 구축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region안에 2개의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을 사용하거나 3개의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을 사용한다. amazon web service 공식문서에는 2개의 AZ(availability zone)를 가지는 VPC를 생성하는 예제가 있으나, 3개의 AZ(availability zone)를 가지는 VPC를 생성하는 예제는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나중에 편리하게 참고하고자 3개의 AZ(availability zone)를 가지는 VPC를 생성하도록 할 것이다. 해당 VPC stack을 생성하기에 앞서 나는 AWS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