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보처리기능사
- Kubernetes
- 쿠버네티스
- CloudFormation
- istio
- DNS
- SQS
- APIGateway
- ASG
- cloudwatch-agent
- CodePipeline
- write Through
- 3AZ
- DaemonSet
- 유나인버거조인트
- server
- stateful
- 해킹송
- AWS
- access_log
- write back
- cbt
- Kinesis
- Lambda
- CodeCommit
- EKS
- CloudWatch
- S3
- CodeBuild
- Round Robin
- Today
- Total
목록이론 및 개념정리/서버 (7)
cloud bee

Protocol E-Mail의 송수신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프로토콜은 3가지가 있다. -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POP3(Post Office Protocol) - IMAP(Internet Mail Access Protocol)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보내거나, E-Mail 서버끼리 메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POP3(Post Office Protocol) E-Mail 서버에 도착되어 있는 메일을 클라이언트로 가져올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IMAP(Internet Mail Access Protocol) POP3(Post Office Protocol)와 동일하다. E-Mail 서버에..

DNS (Domain Name System) DNS는 도매임 네임서버이다. DNS가 등장한 이유는 IP 주소를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즉 숫자로 기억하기보단, 문자로 기억하는 게 더 편하기 때문에 DNS가 등장하였다. DNS 포트 번호 DNS의 포트번호는 53번을 사용한다. - UDP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 DNS 조회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TCP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 DNS 패킷을 전송할 때 사용한다. DNS 질의과정 가장 유명한 사진을 한 번 가져와봤다. 이 사진대로 DNS 질의 과정을 이해하면 될 것이다. DNS 질의 과정 1. user가 www.naver.com을 입력할 경우 pc는 로컬 DNS에게 www.naver.com이라는 호스트네임에 대한 IP를 묻는다. 2. 로..

오늘은 DNS를 좀 건드리도록 할 것이다. -> 라운드 로빈( Round Robin ) 방식으로 진행한다. 라운드 로빈 방식이 과연 무엇일까????🤔 라운드 로빈( Round Robin ) 라운드 로빈( Round Robin ) 방식 1대가 아니라 여러 대의 웹 서버를 운영해서, 웹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에 교대로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 즉 웹 서버의 부하를 여러 대가 공평하게 나눌 수 있게 되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간단한 예로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하여 microsoft.co.kr의 레코드를 조회해 보도록 할 것이다. 여러 개의 IP주소가 조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NS 서버 구성 이번에는 라운드 로빈( Round Robin ) 방식으로 DNS 서버를 구..

오늘은 리눅스 서버와, 윈도우 서버의 차이점에 대해서 소개를 하도록 하겠다. 리눅스 서버 리눅스 서버란? 무료 오픈 소스 운영 체제인 리눅스를 사용하는 컴퓨터 서버나 서비스를 일컫는 말이다. 리눅스 서버 장점 금액: 무료( 오픈 소스 ) 언어/스크립트: PHP, Perl, Python 및 기타 유닉스 기반 언어로 된 스크립트를 지원한다. 데이터 베이스: 대표적으로 Mysql, Postgresql 등 다양한 SQL을 지원한다. 안정성 및 보안성: 다중 사용제 체제라서 root 권한으로 로그인하지 않으면 모든 사용자는 보호 모드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안정성 측면에서 좋다. 윈도우 서버 윈도우 서버란? 모든 windows server 제품군 운영 체제에서 설치, 운영 및 관리하는 모든 유형의 컴퓨터 서버를 일컫..

오늘은 DNS 서버에 대해서 한 번 정리를 해 볼 것이다. DNS 서버는 네임 서버라고도 불린다. 우리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 때 http://www.kbs.co.kr과 같은 인터넷 주소(URL)를 사용하게 되는데, 실제 원하는 서버(컴퓨터)에 접근하려면 이 URL을 해당 컴퓨터의 IP 주소로 변환해야 한다. 이러한 URL을 IP 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일을 DNS 서버 또는 네임 서버라는 컴퓨터가 담당한다. www.kbs.co.kr -> 211.233.32.11 이런 느낌이다. 우선 host 파일의 설정과 DNS 서버를 확인해 볼 것이다. 1-1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 후 nslookup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DNS 서버를 확인하고 www.nate.com 컴퓨터의 IP 주소를 확인해..

오늘은 stateful과 stateless의 차이점을 한 번 알아볼 것이다. 우선 먼저 간단하게 Stateful을 알아보도록 한다. Stateful -> 상태유지 상태 유지라고 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 관계에서 서버가 클라이언트 상태를 보존함을 의미한다. 상태경로를 저장하는 형태, 세션 상태에 기반한 server의 응답이 달라진다. 아래 사진들은 Stateful에 관해 설명한다. 사진 자료는 총 2개이다. 이제 Stateful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으니, Stateless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한 번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 Stateless -> 무상태 stateless는 이전에 클라이언트의 요청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서버이다. Stateless 구조에서 server는 단순히 요청이 올 경우 response를..

오늘은 write Through와 Write Back에 관한 이론을 한 번 알아볼 것이다. 다른 블로그에서 인용을 하여 이 게시물을 작성하였다. 요약정리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write Back은 write-Behind라고도 불린다. 해당 사진은 Write-Through와 Write-Back를 구분해서 나타낸다. 아래 사진을 참고한다.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아래 이론을 살펴보고 사진을 다시 보게 되면 이해가 될 것이다. > Write Through란? 우선 CPU가 주기억장치 또는 디스크로 데이터를 기입하고자 할 때 그 데이터는 먼저 캐시로 기입된다. 이때 데이터가 캐시 됨과 동시에 메모리에도 모두 저장된다. 즉 동시에 캐시와 메모리 모두 update와 같이 수행하는 작업이라고 보면 된다. 장점..